벌써 새해의 둘째 주가 되었다 새해가 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월요일은 일주일 시작입니다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시작합니다 필자는 오늘 Spleen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글을 쓰면서 필자도 공부하고 같이 공유하니 너무 좋습니다
#. Spleen(비장)
Spleen(비장)은 지라라고도 하고 둥글고 해면 모양으로 되어있으며 림프구를 만들고 노쇠한 적혈구를 파괴합니다 혈관이 많기 때문에 암자색을 띠며 길이 10~12cm, 너비 6~8cm, 무게 80~150g입니다
횡격막에 접해서 좌후 상방을 향한 볼록한 면을 횡격면이라 하고 반대 측에는 왼쪽 신장에 접한 오목한 신면과 위저 및 위체에 접착해서 전내방으로 향한 위면이 있습니다 위면의 일부에 취미와 좌결장곡에 접힌 부분이 있는데 이것을 결장면이라고 합니다 하연은 무디고 둥글며 상연은 날카롭습니다 위면과 신면 사이에는 융기된 둔 연이 있고 그 중앙에 혈관과 신경이 출입하는 비문이 있습니다 후단은 안쪽으로 굴곡되고 전단은 왼쪽 아래로 향해 잇다 내부구조는 림프절과 비슷하나 복잡하게 되어 있습니다
두꺼운 결합조직을 가진 백막이 표면을 덮고 있으며 그 내면에는 비주라고 하는 색상돌기가 있고, 이것이 다양하게 분기해서 서로 결합되어 주망을 만듭니 다 이 그물눈을 채우고 있는 것이 유연하고 붉게 보이는 비수라고 하는데 림프구의 집단으로 희게 보이는 백비수와 그 밖의 적비수로 구별됩니다
지라는 태아 때 또는 골수의 작용이 쇠퇴되었을 때에는 다른 혈구도 만드나 보통 때는 림프구만을 백수에서 만들고 있고 적수는 혈액의저장장소이고 낡은 혈구의 파괴장소이기도 합니다
림프절과 똑같이 혈액 중의 세균을 식작용으로 죽입니다 최대의 림프절입니다 출혈, 운동, 정신적 긴장이 계속될때 에는 지라가 수축해져 작아지면서 저장 중인 혈액을 혈류 속으로 방출합니다
#. Spleen(비장, 지라)의 기능
비장은 면역세포의 기능을 돕고 우리 몸에 있는 세균이나 항원 등을 걸러내 줍니다
비장의 적색수질에서는 노쇠한 적혈구를 제거하여 혈액 내 적혈구의 질을 조절하고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백색수질에서는 항체를 합성하여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유지해주고 우리 몸에 있는 세균이나 항원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골수의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골수의 역할을 도와 혈액세포를 생성해주기도 합니다
#. Spleen(비장, 지라)의 질병
1. 비장비대(Splenomegaly)란 비장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커진 상태를 말하는데 그 자체로는 질병이 아니고 기저질환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심장판막증, 간경화증과 같은 순환장애, 말라리아 패혈증, 장티푸스와 같은 감염증, 고셔병(Gaucher`s disease), 아밀로이드증과 같은 대사장애, 백혈병, 악성 림프종과 같은 혈액질환, 암, 혈관종 등의 종양과 동반되어 나타납니다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팽만감, 복부의 상부 좌측 부분이나 등의 좌측 비장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나며 일반적으로는 의사의 촉진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비장이 비대해질 경우 비장 안에 적혈구가 과다 저장되어 빈혈을 유발하게 되며 비장에 의해 백혈구나 혈소판이 파괴되면서 백혈구감소증 및 혈소판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장비대의 치료는 일반적으로는 비장을 비대하게 만든 기저질환의 치료를 통해 이루어지나 비기능항진증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비장을 제거하기도 합니다 비장제거 후에는 감염으로 인한 중증 패혈증(sepsis)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수술의 대안으로 방사선 요법을 이용해서 비장을 축소시키기도 합니다
2. 무비증 (Asplenia)이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이유로 비장이 없는 경우 또는 비장은 있으나 비장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선천적 무비증은 태어날 때부터 비장이 없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심장결함이 동반됩니다 후천적 무비증은 비장의 손상 또는 비장비대를 유발하는 질환 때문에 비장을 제거한 경우를 말하고 심각한 질환으로 인한 비장파괴나 겸상적혈구빈혈(sickle cell anemia) 환자처럼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해 비장은 존재하나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성무비증 상태도 무비증에 포함됩니다 무비증의 경우 보호항체를 생성하지 못하거나 외래 항원이나 병원체 등을 혈액에서 제거하는 기능을 잃게 되어 감염에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는데 이럴 때는 간과 같은 다른 기관의 항감염 기능이 증가되어 오래되었거나 손상된 적혈구가 제거됨으로써 비장손실을 보안하게 됩니다 무비증 환자의 경우 세균 감염 위험이 높아지며 이와 관련된 사망률도 50~70%로 높아지는 위험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예방적 항생제 적용, 예방접종 시행 및 발열 발생 초기에 이전 사례를 참조한 항균제 조기투약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의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ophagus 이게 뭘까??? 의학용 Series#.14 (30) | 2023.01.11 |
---|---|
Bladder"이게 뭘까??? 의학용어Series13. (28) | 2023.01.10 |
Kidney 이게뭘까???? 의학용어 Series#12. (14) | 2023.01.08 |
Stomach 이게 뭐일까???의학용어 Series#11. (17) | 2023.01.07 |
Liver 이게 뭘까?????의학용어 series#10. (2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