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용어

Esophagus 이게 뭘까??? 의학용 Series#.14

by 화이트왕눈이 2023. 1. 11.
728x90
반응형

오늘은 날씨가 많이 따뜻해졌다 아직은 기온차가 많이 나기 때문에 따뜻하게 입고 다녀야 한다 환절기이니만큼 감기 조심하고 따뜻한 물 많이 마시고 목부위를 특히 따뜻하게 해줘야 합니다 

필자는 오늘 우리 몸의 소화기관중 일부인 Esophagus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어느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떤 기능을 하고 관련 질환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 Esophagus(식도)의 정의 

Esopharus(식도)는 인두와 위 사이의 소화기관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곧으며 수축과 이완을 통해 음식물을 위 내로 이동시킨다 양쪽 끝은 조임근이 존재하여 평소에는 닫혀있다가 음식물이 인두 내로 들어오게 되면 상부식도조임근이 이완되어 음식물을 식도로 들어가게 합니다 음식물이 식도 내로 들어온 후에는 조임근이 닫혀 역류되지 않게 합니다 식도벽은 근육층이 존재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연동운동이 이루어지며 음식무이 아래로 내려가면 하부식도조임근이 열리면서 위 내로 음식물이 식도 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Esophagus(식도)의 형태 및 구조

인두와 위 사이를 연결해 주는 기관으로 왼쪽 주기관지의 뒤쪽에 약간 왼쪽에 위치하며 길이는 약 25~30cm입니다 꿈틀운동(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위로 이동시켜 주며, 역류(위 속 음식물이 식도 쪽으로 올라오는 것)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에 조임근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상부식도조임근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길이는 2~3cm이며 하부식도조임근은 식도의 근육층이 두꺼워져 만들어진 것입니다 식도의 구조는 점막, 점막하 조직, 근육층, 외막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위장관과는 달리 식도는 장막으로 둘러 싸여 있지 않습니다

#. Esophagus(식도)의 기능 및 관련 질병

식도는 인두로 들어온 음식물을 연동운동을 통해 위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식도의 양쪽 끝은 조임근이라는 근육에 의해 닫혀 있는데 음식물이 인두로 들어오면 상부조임근이 이완해서 음식물을 받아들입니다 그 후 조임근은 바로 닫혀 음식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합니다 음식물이 식도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 하부식도 조임근이 열리면서 음식물이 위로 들어가고 이후 하부식도조임근은 닫혀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하부 식도 조임근이 문제가 되어 위산이 포함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할 경우 식도 벽의 손상과 염증을 일으켜 위식도역류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관련질병으로는 역류성 식도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그 이외에 감염성, 질환, 종양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Esophagus(식도)의 검사방법

위내시경으로 식도 내부 점막병변을 진단할 수 있고 조직검사도 가능합니다 그 외에 식도암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컴퓨터단층쵤영(CT)이 널리 이용되며 침윤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내시경도 이용되고 있다 운동성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 식도내압츨정등 기능검사도 거시 행할 수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