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용어

Heart 이것은 뭘까???의학용어 Series#18.

by 화이트왕눈이 2023. 1. 15.
728x90
반응형

오늘도 여전히 이슬비가 내리는 주말입니다  많이 오지는 않고 보슬보슬 내리는 이슬비가 옵니다 비가 온 후에 날씨가 많이 싸늘해진다고 합니다  환절기이니 만큼 따뜻하게 입고 물도 많이 마셔주는 게 좋습니다 모두 감기 조심하시고 필자가 오늘은 우리가 제일 많이 알고 있는 Heart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 Heart(심장)의 정의

심장(heart)은 혈액이 흐르는 도관인 혈관(blood vessel), 그리고 온몸을 순환하는 액체로써 조직 세포로 물질을 수송시키는 혈액(blood)과 함께 심장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를 이루고 있으며 그 크기가 주먹만 하고 혈액을 혈관으로 내보내고 혈관계를 통해 혈류를 추진할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근육성 펌프입니다

#. Heart(심장)의 구조 및 기능

심장은 흉강과 복강을 분리하는 근육성 칸막이 벽인 횡격막 바로 위의 흉강에서 위심낭(pericardium)이라는 섬유질 막성 주머니 안에 들어 있는 근육질의 기관입니다 또 다른 섬유질 막인 심장외막(epicardium)은 심장 주변에 밀착되어 있습니다 심장과 심장외막 사이에는 매우 좁은 공간이 있고 이 사이에 액체가 채워져 있어서 심장이 위심낭 속에서 움직일 때 윤활제로 작용합니다 심장은 매우 많은 일을 함에도 불구하고 그 크기는 주먹 정도밖에 안 되는 기관으로 무게는 대략 남성은 300~350 그램 여성은 250~300 그램 정도입니다 심장 벽은 주로 심근(myocardiu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장의 내부 표면은 혈관 내벽과 마찬가지로 얇은 내피세포 또는 내피조직 층으로 덮여 있습니다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위쪽 2개의 방인 좌심방(left  atrium)과 우심방(right atrium)은 혈관계로부터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아들이고 아래쪽 2개의 방인 좌심실(left ventricle)과 우심실(right ventricle)은 심방으로부터 혈액을 받아 심장에서 혈관으로 혈액을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킵니다 심장의 좌우 심방과 좌우 심실은 혈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격벽(septum)이라는 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습니다 좌우 심방을 분리하는 부위는 심방 간 격벽(interatrial septum)이라 하고 좌우 심실을 분리하는 부위는 심실 간 격벽(interventricular septum)이라 합니다 심장에는 왼쪽, 오른쪽이 있는 것처럼 꼭대기와 바닥도 있고 심장의 위쪽 넓은 부위는 심 저(base), 심장의 아래쪽 좁은 부위는 심첨(apex)이라 합니다 또한 혈액이 심장을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안전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 4개의 판막이 있어 역류를 방지합니다 심장은 4개 방으로 나뉘어 있는데 2개의 심방은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모아 심실로 보낸 기능을 하고 두 심방은 하는 일이 매우 비슷하고 그 모양도 거의 동일합니다 두 개의 심실은 심방으로부터 혈액을 받아 심장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하고 우심실과 좌심실은 그 구조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형성하는 압력도 매우 다르며 심장이 박동할 때 두 심방이 먼저 수축하고 잠시 뒤에 두 심실이 동시에 수축하며 같은 양의 혈액을 뿜어냅니다 우심방과 우심실은 폐순환을 담당하고 좌심방과 좌심실은 체순환을 담당합니다 우심방은 체순환으로부터 혈액을 받고 우심실은 폐순환으로 혈액을 내본낸다 폐는 심장 가까이에 있고 폐동맥과 폐정맥은 상대적으로 크고 길이도 짧습니다 따라서 우심실이 폐순환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것은 좌심실의 기능에 비해 쉽습니다 이 때문에 우심실의 벽은 비교적 얇으며 좌심실의  큰 벽에 붙어있는 주머니처럼 보입니다 우심실의 수축에 일정 도움을 받아 혈액을 내보냅니다 이 기전은 최소한의 힘으로서 혈액을 매우 효율적으로 뿜어내지만 심실의 압력은 비교적 낮게 형성됩니다  좌심방은 폐순환으로부터 혈액을 받고 좌심실은 체순환을 통해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냅니다 체순환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것은 폐순환으로 혈액을 보내는 것보다 4~6배 높은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좌심실의 근육벽은 매우 두껍고 단면은 둥글고 좌심실이 수축할 때 심 저와 심첨의 거리가 줄어들고 심실의 직경이 줄어듭니다 좌심실이 강력하게 수축하면 심실격벽이 우심실 속으로 부풀어 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은 우심실의 혈액을 밀어냅니다 우심실의 근육이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에도 좌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을 폐순환으로 밀어낼 수 있도옥 돋기 때문에 생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Heart의 중요성 및 질환 검사

심장은 혈관을 통해 혈액을 여러 기관에 공급하고 혈액은 산소와 영양물질을 조직에 공급하며 이산화탄소와 노페물들을 제거합니다 이를 위해서 심장은 혈액량, 혈압 등과 같은 심장혈관계의 변수를 조절하도록 도와주는 감각기능과 내분비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펌프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심장혈관계의 조절은 배설계, 신경계, 내분비계등과 같은 다른 여러 기관계와의 상호 작용을 포함합니다

심장에 병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선천성 심장질환(심실중격결손중, 심방중격결손증, 동맥관개존중), 심장판막증(승모판협착이 나 폐쇄부전, 대동맥판협착이나 폐쇄부전등은 후천성인 경우가 많지만 일부에 선천성인 것이 포함됨), 후천성 판막증과 관련된 류머티즘성열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 심장의 전기생리적 이상에 의한 부정맥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심장근질환, 위에서 기술한 병변의 결과로의 심부전, 심막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또한 드문질환으로 심장종양도 있습니다

이런 질환은 심전도,심장초음파, 혈액검사, 심혈관조영술, 운동부하검사, CT 등 여러 가지 검사가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