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느덧 5월이 왔네요 5월에는 행사가 많이 있지요
가정의 달이기도 하구요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어린아이들과 함께 어린이날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고민도 해야 하구 어버이날에는 부모님을 위해 어떤 시간을 보내야 하나 하는 생각들을 하느라 바쁜 날들을 보내고 계시겠네요
모두 행복한 가정의 달 보내시길 바래요 ^^ 오늘 필자는 야경증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 야경증(sleep terror disorder)의 정의 및 원인
야경증은 비렘(NREM) 수면 각성장애 중 하나로 비렘수면기 중 수면 초반 1/3 앞쪽에서 가장 흔하며, 주로 소아에서 갑자기 잠에서 깨어 비명을 지르며 공황상태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야경증의 정확한 원인은 모릅니다 정서적 불안, 스트레스, 수면 부족, 그리고 고열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야경증(sleep terror disorder)의 증상 및 진단 검사
야경증은 수면 중에 일어나서 강한 발성과 동작, 고도의 자율신경 반응을 동반하는 심한 공포와 공황상태를 보입니다 따라서 수면 중 경악장애라고도 합니다 수면의 처음 1/3 부분에서 공포에 질린 비명과 함께 잠에서 깨어나 일어나 앉으며 깨어나면 보통 그 에피소드에 대해 기억하지 못합니다 소아의 1~6%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남자아이에게 더 흔합니다 몽유병(sleepwalking syndrome) 또는 야뇨증(nocturnal enuresis)과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DSM-5)의 진단 기준에 따르면 아래의 기준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1. 대개 주요 수면 삽화의 초기 1/3 동안에 발생하며 돌발적 비명과 함께 급작스럽게 잠에서 깨는 반복적인 삽화가 있습니다 각 삽화 동안 심한 공포와 동공산대, 빈맥, 빈호흡, 발한 같은 자율신경계 반응의 징후가 있고, 삽화 동안 안심시키려는 다른 사람의 노력에 비교적 반응하지 않습니다
2. 꿈 이미지를 전혀 또는 거의(예, 단지 시각적 한 장면) 회상하지 못합니다
3. 삽화를 기억하지 못합니다
4. 삽화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합니다
5. 장애가 물질(예,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닙니다
6. 공존하는 정신질환과 의학적 장애가 야경증 삽화를 충분히 설명할 수없습니다
#. 야경증(sleep terror disorder)의 치료 및 경과합병증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성장함에 따라 증상이 감소하고 이후의 정신 질환으로 발전하지는 않으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으며 간단한 상담으로 충분합니다 그러나 증상이 수주 이상 지속되고 개인 및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가족 내 정서적 스트레스 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수 있고 개인 및 가족 치료가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체로 4~12세 사이에 시작되어 청소년기에는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처: 네이버
'질환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막염(peritonitis)이란 (8) | 2023.05.04 |
---|---|
척추분리증(spondylolysis)이란 (6) | 2023.05.03 |
위경련(gastric cramp)에대해서... (8) | 2023.05.01 |
근육통(myalgia)에 대해서... (14) | 2023.04.20 |
곤봉지(clubbing)에 대해서 (2) | 2023.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