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날씨가 많이 풀린듯 하네요 햇살이 많이 비추고 있어요^^
잠은 편안히 주무셨나요??? 필자는 오늘 많이들 알고 있고 평상시에 겪을 수 있는 질환인 소화불량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 dyspepsia(소화불량)의 정의 및 원인 증상
소화불량은 소화기관의 기능장애와 관련하여 주로 상복부 중앙에 소화 장애 증세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한 가지 증상만 일컫는 것이 아니며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상복부 팽만감, 구역 (또는 오심), 명치 통증, 속쓰림 등의 여러 증상을 포함합니다 소화불량의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기질성 소화불량의 경우 소화성 궤양이나 위암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의 경우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운동 이상으로 인한 위 배출능력의 저하, 위 적응장애, 위산에 대한 과민성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십이지장의 경한 염증, 환경 요인, 심리 요인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후 포만감이란 위 내에 음식이 계속 남아있는 것 같은 불편한 증상을 말하고, 조기 만복감이란 식사를 시작하자 곧 배가 부르고 더 이상의식사를 할 수 없는 느낌을 말합니다 상복부 팽만감이란 상복부가 팽팽하게 팽창된 것 같은 느낌이고, 구여은 토할 것처럼 느끼는 증상을 말합니다
#. dyspepsia(소화불량)의 진단검사
진단을 위해서는 구조적 혹은 생화학적 이상을 배제하기 위해 자세한 병력청취와 복부검진을 포함한 신체검사를 실시하며 일반혈액검사나 생화학 검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검사, 상부위장관 조열술이나 위내시경, 복부 초음파 및 CT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40세 이상에서 소화불량 증상이 처음 발생한 경우,만성적인 증상이 있으나 제대로 검사한 적이 없는 경우, 이유없는 체중감소,잦은 구토, 심해지는 삼킴 곤란, 위장관 출혈 등의 경고 증상이 있는 경우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진단적 검사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dyspepsia(소화불량)의 치료 및 관련질환
대부분의 소화불량증은 대개 증상이 심하지 않으며간헐적으로 나타납니다 우선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음식,정서적 사건, 또는 환경적 요인들을 밝혀내고 이를 피하도록 합니다 생활습관이나 식이를 조절하여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으면 약물요법을 시도합니다 약물요법에는 운동기능 항진제, 제산제,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gibitor, PPI)등이 사용되는데, 약물을 투여하여 효과가 있더라도 그약물을 정기적으로 투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대개 한두 달 정도 투약하고 증상이 호전되면 투약을 중단하였다가 증상이 재발하면 다시 단기간 동안 투약하도록 합니다 관련질병으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위식도 역류질환, 만성 위염, 위 및 십이지장 궤양, 담낭염, 췌장염 등이 있습니다
출처:네이버지식
'질환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변(melena)이 무엇인가?? (15) | 2023.02.24 |
---|---|
부정맥(arrhythmia)이란 무엇인가? (19) | 2023.02.23 |
건선(Psoriasis)이란 무엇인가?? (9) | 2023.02.21 |
눈다래끼(Hordeolum, Chalazion) (40) | 2023.02.20 |
지방종(Lipoma)이 무엇인가?? (25) | 2023.02.19 |
댓글